19년도 이후 도시설계는 산업혁명 등 급변한 시기로 인해 발생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전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도시설계는 단순한 인구 밀집 해소를 넘어, 기능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으로 진화하였습니다. 특히 르 꼬르뷔제(Le Corbusier)의 혁신적인 도시계획과 아테네 헌장은 우리나라는 물론, 전세계적으로 현재 도시구조에 중요한 전환점을 제시했습니다. 본 글에서는 르 꼬르뷔제의 도시계획 활동, 아테네 헌장의 발표, 근대건축가협회(CIAM)의 역할, 그리고 Team 10의 신도시 계획을 중심으로 산업혁명 이후 도시설계의 발전 과정을 소개하겠습니다.
1. 르 꼬르뷔제와 기능주의 도시 설계
르 꼬르뷔제는 1922년부터 1933년까지 300만 인구를 수용할 수 있는 대규모 도시계획을 제안하며 기능주의적 접근을 선도했습니다. 특히 그는 1925년 파리 중심부의 근린계획인 부아젠 계획과 1933년 고층화와 공공공간 확대를 통해 도시 과밀을 해결하고자 했던 빛나는 도시계획을 주창하였습니다. 300만 인구를 수용할 수 있는 빛나는 도시의 가장 큰 특징은 도시 중심에는 1헥타르당 3천 명의 인구를 수용할 수 있는 60층 규모의 건축물을 설계함으로써 인구 밀도를 높였으며, 주변은 1헥타르당 3백 명을 수용할 수 있는 8층의 연립주택과 넓은 오픈스페이스를 중심으로 설계되었습니다.
가. 유니테 다비타시옹
프랑스의 주택단위로 나타난 유니테 다비타이송은 르 꼬르뷔제가 주택과 도시 기능을 하나의 건물로 통합한 혁신적 설계 중에 하나로 남아있습니다. 이는 1947~1952년 프랑스 마르세유에서 최초로 건설되었으며, 낭트, 베를린에서도 구현되었습니다. 이 주택단위의 내부는 벽이 없는 거실 구조와 베란다를 통해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했습니다. 건축물은 길이 136m, 높이 60m 건물에 340호의 주택을 수용하며, 2층마다 상점가와 유치원, 체육관, 유원지 등을 배치했습니다. 유니테 다비타시옹은 르 꼬르뷔제의 도시설계 철학을 실현한 대표적 사례로 초기부터 주택, 도시에 관한 구상을 집대성한 것으로 평가받습니다.
2. 아테네 헌장과 CIAM의 역할
1933년 제4회 근대건축국제회의(CIAM)에서 발표된 아테네 헌장은 현대 도시계획의 핵심 원칙을 정립했습니다. 이 헌장은 도시를 생활, 생산, 위락의 3가지 기능으로 분리하고, 제 4의 기능인 교통을 통해 이를 연결하는 방식을 제안했습니다. 이는 도시의 비합리적 구조를 비판하며, 인간 중심의 도시 설계를 목표로 한 제안이었습니다.
가. CIAM의 결성과 활동
근대건축가협회(CIAM)는 1928년 르 꼬르뷔제의 주도로 결성된 조직입니다. 이 조직은 르 꼬르뷔제의 주장을 지지하는 각국의 주요 건축가들에 의해 조직되었으며, 도시 설계의 이론적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나. 주요 주제
주거: 1929년 프랑크푸르트에서 최소한 주거 원칙을 발표하게 됩니다.
기능적 도시: 1933년 아테네 회의에서 현대 도시의 네 가지 기능(주거, 근로, 여가, 교통)을 강조하였습니다.(아테네 헌장)
도시의 핵: 1951년 런던 회의에서 도시 중심지 설계에 대한 새로운 해석 제시.시하게 됩니다.
다. CIAM의 의의와 한계
CIAM은 도시 설계의 학문적 틀을 제시하며 각국의 도시계획과 주택지 개발에 공헌했습니다.
그러나 지나치게 이상적이고 합리주의에 치중한 설계는 현실적 실행에서 한계를 드러냈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3. Team 10과 신도시 설계
Team 10는 1956년 CIAM이 해체된 후, 젊은 건축가들이 결성한 단체로, CIAM 제 10회를 준비한 팀(Team)이라고 하여 이름을 결정하게 됩니다. 이 조직은 기존의 CIAM과 달리 다이내믹한 도시 설계를 목표로 했습니다.
가. 주요 활동가
Team 10는 네덜란드의 J.B. 바케마, 프랑스의 G. 칸딜리스, 영국의 피터 & 앨리슨 스미슨 부부 등이 중심이 되었습니다. 이들은 1963년 파리에서 발표된 Team Ten Primer에서는 유동, 성장, 군집과 같은 개념을 강조했습니다.
나. Team 10의 의의
Team 10은 CIAM의 합리주의적 이상을 비판하며, 보다 인간적이고 유연한 도시 설계를 지향했습니다. 이들의 접근은 이후 도시미화운동과 뉴어바니즘으로 이어지는 데 기여했습니다.
4. 산업혁명 이후 기능주의 도시 설계의 의의
산업혁명 이후의 기능주의적 도시설계는 급변하는 도시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창의적이고 체계적인 노력의 결과물이었습니다. 르 꼬르뷔제가 설계한 빛나는 도시는 고밀 중심의 설계인 CBD와 전원도시를 결합한 수직적 도시설계로 오늘날 대다수 도시의 지속 가능한 도시계획의 모델이 되고 있습니다. 또한 아테네 헌장에서의 발표 내용은 현대 도시 설계의 근본 원칙을 정립하며, 기능 중심의 도시 계획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Team 10는 인간 중심의 설계 철학을 발표하면서 현대 도시계획의 실질적이고 유연한 대안을 제시했습니다. 이러한 과거 위인들의 노력은 단순히 도시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넘어, 도시와 인간의 관계를 새롭게 정의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 설계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큽니다.
'도시공학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시계획기사 이론 학습 54. 뉴어바니즘의 등장과 적용 사례 (1) | 2024.12.02 |
---|---|
도시계획기사 이론 학습 53. 현대의 도시계획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도시계획 헌장 (2) | 2024.11.30 |
도시계획기사 이론 학습 52. 현대의 도시계획과 패러다임의 변화 (2) | 2024.11.30 |
도시계획기사 이론 학습 51. 기능주의적 도시설계와 선형도시 모형의 발달 과정 (1) | 2024.11.29 |
도시계획기사 이론 학습 49. 세계 각국 도시미화운동의 역사와 특징 (3) | 2024.11.29 |
도시계획기사 이론 학습 48. 산업화 시대의 미국 도시미화운동 (0) | 2024.11.28 |
도시계획기사 이론 학습 47. 대공황과 미국 도시계획의 변화 (4) | 2024.11.27 |
도시계획기사 이론 학습 46. 산업혁명과 미국의 도시개발 과정 (0) | 2024.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