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시공학의 이해

도시계획기사 이론 학습 51. 기능주의적 도시설계와 선형도시 모형의 발달 과정

by Edward's info 2024. 11. 29.

기능주의적 도시설계의 등장으로 도시설계에 있어서 다양한 모델이 발생하였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선형도시, 경관도시, 빛나는 도시, 도시 이미지, 에키스틱스 이론 등 주요 도시모형 사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선형도시의 발전과정

 

1. 선형도시(Linear Town)

선형도시는 기존의 원형 또는 방사형 도시 구조와 달리 간선도로를 중심으로 도시형태가 발전한 선형 형태를 가진 도시모형입니다.

 

. 선형도시의 목적

선형도시는 과밀한 도시개발과 환경 악화를 개선하고 도시와 전원생활을 통합하고 효율적인 수송, 저밀도 개발을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선형도시는 간선도로를 중심으로 도시 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교통 시간을 단축하고 주거지의 밀집으로 인한 사회 문제를 해결하며, 공공시설을 균형적으로 배치하게 되었습니다.

 

. 선형도시의 특징

선형도시의 주요 시설물은 도로, 철도, 하천을 따라 배치되며, 상업 및 서비스 기능은 도로 가까이에, 주거지는 그 뒤편에 배치됩니다. 이러한 도시 구조는 철저한 토지 이용 분리로 쾌적한 주거 환경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이 공간 구조는 도시 전체의 정체성 상실과 생활권 간의 단절을 초례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고 평가되었습니다.

 

. 선형도시의 발전과정

선형도시는 1882년 스페인 소리아 이 마타(Arturo Soria y Mata)를 선형도시로 설계하면서 선형도시의 이론에 대한 발표를 진행하게 됩니다. 이론 발표 이후, 계획가들은 마드리드 도시를 선형으로 연결하고 도시와 농업지대를 조화롭게 배치하게 됩니다. 이후, 1930년 소련, 밀류틴(N.A. Miliutin)에서는 6개의 시가지를 병렬로 구성하고 직주근접 및 교통 편리를 고려한 소련 선형도시 계획인 스탈린그라드 계획을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1933년 독일의 폴 볼프가 국토재편성 추진 과정에서 주택과 공장을 선형으로 설계해야한다는 주장을 하게 되었습니다. 1937, 아서 콘 주도로 무질서한 도시 구조를 개선하고 슬럼을 해결하기 위해 런던 전체를 하나의 생활체로 통합해야한다는 선형의 런던개조계획이 제안되었습니다.

 

. 선형도시의 발전

선형도시는 1882년 소리아 이 마타를 시작으로 밀소련, 독일, 영국 등 많은 서양 국가에서 매력적인 도시 구조로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최종적으로 1945년 르 꼬르뷔제는 선형공업도시를 발표하면서 선형도시의 장점을 최대로 이끌게 됩니다. 이 도시 구조는 공업지대와 도시를 철도, 운하, 고속도로로 연결하며 녹지 속에 배치하게 됩니다. 그는 ASCORAL(Organized the Assembly of Constructors for an Architectural Renovation)그룹을 주도로 프랑스의 일부 지역에 선형도시 이론을 적용하게 됩니다.

 

이후, 숲 속에 도시를 배치하고 주간선도로 양측에 공업과 상업 기능을 분리하는 루드윅 힐버세이머(Ludwig Hilberseimer)의 선형도시를 발표, 6~8개의 근린주구를 구성하고 각 구에 초등학교와 주요 상업시설을 배치한 선형 공업도시 구조인 호세 루이스 세르트(Jose Luis Sert)를 제안하면서 선형도시를 발전시키게 됩니다.

 

 

2. 도시 모형의 발달 사례

. 카밀로 지테(Camillo Sitte)의 경관도시(1899)

도시를 예술적으로 조형하여 인간의 안락한 정주 공간을 제공하려는 도시 모형입니다. 그는 로마 이후의 도시 공간을 분석하며 자연과의 조화를 강조했습니다. 이 계획은 중세 도시의 조형적 복구에 중점을 두었지만, 공업화 문제 해결에는 소홀했다는 비판을 받습니다.

 

. 르 꼬르뷔제(Le Corbusier)의 대도시론

르 꼬르뷔제는 800만 인구 도시계획(1922), 근린계획(1925), 빛나는 도시(1933) 등에서 대규모 고층화 도시 설계를 제안했습니다. 그의 도시설계는 도심은 60층 고층 건물로 구성되고, 건폐율 5%를 유지하며 넓은 녹지를 확보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대부분의 계획은 도심 중심에 입체 교통센터를 배치하며, 도시 주변은 300/ha 밀도의 8층 연립주택과 전원도시로 구성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도시들은 "수직의 전원도시" 혹은 "공원 속의 도시"로 불리며, 도시설계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게 됩니다.

 

. 케빈 린치(Kevin Lynch)의 도시 이미지

1960년 저서 The Image of the City에서 도시의 시각적 형태를 분석하며, 주민들이 느끼는 도시 이미지를 설계에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하게 됩니다. 그가 주장하는 도시 이미지는 동질성(Identity), 구조(Structure), 의미(Meaning)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됩니다. 도시의 물리적 형태는 가로(Path), 변두리(Edge), 결절점(Node), 지구(District), 기념물(Landmark)로 분석하였습니다.

 

. 독시아디스(C.A. Doxiadis)의 에키스틱스(Ekistics) 이론

독시아디스는 인간 정주 과학을 통해 도시와 인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미래 도시를 "다이나폴리스(Dynapolis)"로 명명했습니다. 그는 도시가 팽창하면 위성도시가 흡수되어 광역도시로 성장하며, 국가 전체가 도시화되는 상태를 설명하게 됩니다.

 

 

3. 도시 설계의 통합적 발전 방향

19세기 말 ~ 20세기 초, 과학적 도시계획은 도시 구조, 규모, 밀도, 성장 방식을 분석하며 지역 계획적 접근을 시도하였습니다. 이는 도시 문제를 단일 도시가 아닌 지역적 관점에서 해결하려는 새로운 접근 방식이었습니다.

 

 

4. 마치며, 도시 모형의 발달과 현대 도시 설계의 의의

기능주의적 도시 설계와 다양한 도시 모형은 현대 도시계획의 기틀을 마련했습니다. 선형도시와 경관도시는 도시 문제 해결의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했으며, 빛나는 도시와 에키스틱스 이론은 도시와 인간의 관계를 재정립했습니다. 이와 같은 도시 모형은 단순한 공간 설계를 넘어 인간 중심의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을 위한 초석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