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시공학의 이해

도시계획기사 이론 학습 47. 대공황과 미국 도시계획의 변화

by Edward's info 2024. 11. 27.

대공황과 미국 도시계획의 변화

대공황(The Great Depression)1929년 미국에서 발생하여 세계 경제는 물론, 도시구조에도 막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미국에서는 대공황 극복을 위해 뉴딜 정책(New Deal)과 같은 대규모 경제 및 도시계획이 실행되었으며, 이는 현대 미국은 물론, 우리나라의 도시계획의 방향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습니다. 본 글에서는 대공황의 발발, 뉴딜 정책의 핵심 내용, 미국 지역계획협회(American Regional Planning Association)의 활동, 그리고 그린벨트 도시(Greenbelt City)의 설계와 사회적 결과를 살펴보겠습니다.

 

1. 대공황의 발발

1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은 겉으로는 경제적 번영을 누렸으나, 만성적으로 과잉생산과 실업 문제가 나타나고 있었습니다. 검은 토요일(Black Thursday)이라고 칭해지는 19291024, 뉴욕 월가(Wall Street)의 뉴욕 증권거래소(New York Stock Exchange)에서는 그 동안 버티고 있던 주가가 폭락하면서 대공황이 시작되었습니다.

 

. 대공황의 세계적 확산

미국은 대공황 이후, 연속적으로 주가가 하락하였고, 이로 인해 생산이 위축됨과 동시에 경제활동이 마비되는 문제가 지속되었습니다. 이후, 기업 도산과 실업이 급증하였습니다. 1933년까지 실업자는 약 1,500만 명에 달했으며, 이는 노동자의 약 30%에 해당하는 수준이었습니다.

 

농업 부문: 미국, 유럽, 남미의 농산물 가격이 폭락하여 대량의 밀, 커피, 가축 등이 폐기되었습니다.

금융 부문: 1931년 오스트리아 은행이 도산하며 금융 공황이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었고, 영국은 금본위제를 중단하였습니다.

산업 생산 감소: 1932년 산업 생산량은 공황 이전 대비 44% 감소하였으며, 이는 1908~1909년 수준으로 후퇴한 수치입니다.

 

. 대공황 극복

대공황은 실질적으로 제2차 세계대전 종료 후에 완전히 극복되었습니다. 전쟁 이후, 경제를 수습하는 과정에서 대공황도 함께 극복하게 된 것입니다. 대공황을 극복하고 난 후 다양한 대책이 필요한 것을 안 국제사회는 IMF(국제통화기금)과 세계은행과 같은 국제 기구를 설립, 다양한 무역협정 등을 진행하면서 대책을 간구하게 됩니다.

 

 

2. 뉴딜 정책(New Deal Plan)

뉴딜 정책은 프랭클린 D. 루스벨트(Franklin D. Roosevelt) 대통령이 대공황 극복을 위해 1933년부터 1938년까지 추진한 경제 프로그램과 공공사업 계획을 말합니다.

 

. 루스벨트 대통령의 정책 방향

경제 회복: 실업자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경제 구조와 관행을 개혁하여 정체된 경제를 활성화하고자 했습니다.

지역 회귀 운동: , 토지, 자금, 도구를 제공하여 많은 인구를 농촌으로 귀환시키려는 정책을 추진하였습니다.

 

. 주요 프로젝트: 테네시 강 유역 개발 프로젝트

본 프로젝트는 루스벨트 대통령이 1933년도 약 1,500만 명의 실업자를 구제하기 위해 실행되었습니다. 이 프로젝트 실행의 목적은 대규모 토목공사를 통해 테네시 계곡(500km)에 댐을 건설하여 실업자들을 구제하는데 있었습니다. 테네시 계곡의 댐 건설을 통해 부수적으로는 홍수 방지, 용수 공급, 전기 생산, 자원 개발 및 보존, 경제 활성화의 효과를 예측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댐 건설로 인해 73만 에이커의 농지가 침수되었고, 15,000명의 이주민이 발생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농장 소유자는 보상을 받았지만, 소작농 대부분은 보상받지 못했으며, 이들 중 다수는 빈곤한 흑인이었습니다.

 

. 뉴딜정책의 주요 인물: 멈포드

멈포드는 그 시대 미국의 지역 계획을 비난해야하는 것에 중점을 주었습니다. 그는 토지, 자산가치, 건물 등의 부동산 등이 공공의 통제를 위한 제약이나 제안을 받은게 없어 실질적인 도시 공간에 변화를 이끌 수 없었다고 주장하였고, 대도시의 존재를 반대하게 되었습니다.

 

. 뉴딜정책의 주요 인물: 바우어

바우어는 미국지역계획협회의 유일한 여성이였습니다. 그녀는 뉴딜정책의 주택 공급사업에 참여하였습니다. 그녀는 필라델피아에서 노동자주택위원회 수석고문으로 활동하였으며, 멈포드와 함게 미국지역계획협회의 무력함을 비판한 주요 인물이었습니다.

 

 

3. 미국 지역계획협회(R.P.A.A., Regional Plans Association of America)

미국 지역계획협회는 하워드(Ebenezer Howard)의 전원도시와 게데스(Patrick Geddes)의 지역계획 사상을 기반으로 한 지역도시(regional city)’ 개념으로 모인 조직입니다. 이 협회는 농장과 공원 등의 오픈스페이스를 배경으로 하는 이상주의적 도시를 지향하였습니다.

 

. 주요 내용

인구와 고용이 계획적으로 분산되어야한다는 것을 강요하며, 도심을 중심으로 인구와 주요 시설물이 밀집되는 현상을 지적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전기, 전화, 자동차와 같은 신기술을 도시계획에 있어서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도시 공간의 제약을 벗어나는 것에 중점을 맞췄습니다.

 

도로, 철도와 같은 새로운 교통 시설은 또 다른 혼잡(고층 건물의 건립 등)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방사형보다는 도시 주변부를 둘러쌓는 형태로 계획되어야 하며, 고층 건물 건립 시 공공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농업 지역은 공원이나 숲보다 더 많은 개방 공간을 제공하는 회랑형 구조로 설계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를 통해 더 많은 공공 공간과 수변 공간(, 항구 등)이 생성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4. 그린벨트 도시(Greenbelt City)

그린벨트 도시는 대공황을 극복하기 위한 정책 중 하나로 작용하였습니다. 그린벨트 도시는 인구를 도심에서 외곽으로 분산하기 위한 계획으로 도시 외곽의 저렴한 토지를 구입, 완전한 지역 사회를 건설하고 이 공간에 슬럼 거주자(도심 빈민층)를 귀환시키고자 한 계획입니다. 슬럼 거주자가 귀환된 이후에는 기존 도심의 슬럼가를 철거, 오픈스페이스를 조성하고자 하였습니다.

 

. 물리적 환경

도심 외곽에서 자족할 수 있는 지역으로 설계되었으며, 기존 인구 분포를 반영하여 배치되었습니다. , 기존 대도시로의 통근 가능성을 제공해주는 소도시로 계획되었으며 대표적으로는 그린벨트(Greenbelt), 그린힐스(Greenhills), 그린데일(Greendale) 등의 도시가 있습니다.

 

. 사회적 결과

합리적인 임대료에도 불구하고 극빈층과 흑인 인구는 이주에서 배제되었습니다. 이후, 도시 운영에 있어서 높은 단위비용, 일자리 부족, 대도시와의 교통 연결성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또한, 이미 대공황 이전의 부유한 경험을 해본 미국인의 생활 수준과 요구를 충족시키기에 주택, 주차장, 상점의 규모가 매우 부족했습니다.

 

. 그린벨트의 의의

하지만, 이렇게 연방정부가 지방 정부(지자체)를 거치지 않고 도시계획을 완전하게 통제하고 수행함에 따라서 지방정부의 재산세 부과 권리 없애는 등의 의의가 발생하였습니다.

 

5. 마치며

대공황은 도시계획과 지역개발에 중요한 교훈을 남겼습니다. 뉴딜 정책과 그린벨트 도시 설계는 도시 확장을 억제하고 지역 균형 발전을 도모하며 현대 도시계획의 기틀을 마련하였습니다. 비록 한계점도 존재했지만, 이러한 시도는 자원 개발, 공공시설 확충, 커뮤니티 강화와 같은 긍정적인 결과를 남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