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시공학의 이해

도시계획기사 이론 학습 45. 산업혁명의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대런던 계획

by Edward's info 2024. 11. 26.

산업혁명은 도시화와 인구 집중을 촉진시키며, 영국을 비롯한 여러 대도시 국가에 심각한 도시 문제를 일으켰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대표적인 도시계획이 바로 1944년 영국에서 시행된 대런던계획(Greater London Plan)입니다. 이 계획은 도시의 분산화와 그린벨트 정책을 통해 현대 도시계획의 기틀을 마련하며 전 세계 도시개발의 대표적인 사례로 영향을 미쳤습니다.

1. 대런던 계획 소개

대런던 계획은 패트릭 아버크롬비(Patrick Abercrombie)가 설계한 도시 분산화 정책입니다. 이 계획은 1944년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영국의 도시 정책의 중요한 기점이 되었으며, 그린벨트와 그 시대의 신도시 사상을 실현한 대표 사례입니다.

 

. 계획의 핵심 개념

< 그린벨트 설치 >

그린벨트는 대런던 계획의 대표적인 요소입니다. 그린벨트는 런던 중심부에서 8km의 폭으로 설정되었으며, 도시의 무질서한 확장을 방지하고 개방 공간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 도시 분산화 >

런던에 집중된 인구와 산업을 외곽으로 분산시키고, 신도시를 건설하여 자급자족 가능한 지역 사회를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 대런던 계획의 설치 목적

대런던 계획은 앞서 말한 것과 같이 산업혁멱으로 인해 도시민들이 대도시로 몰려드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계획되었습니다. 가장 먼저, 그린벨트 설치를 통해 런던 중심부의 무분벌한 확산을 방지하였고, 동시에 도시민들에게 휴양공간이 될 수 있는 오픈 스페이스를 제공해주었습니다. 그리고 도시를 분산함으로 인해서 도심부와 농촌부 간의 연담화를 방지하였습니다.

 

 

2. 대런던 계획의 주요 내용

. 도시구조 구분: 네 가지 영역

도심(Inner City): 인구와 산업이 가장 밀집된 지역으로, 분산화가 필요한 핵심 목표 지역입니다.

교외(Suburbs): 도심에서 확장되어 성장 중인 지역으로, 주택 수요가 높은 지역입니다.

그린벨트(Greenbelt): 도시의 확장을 제한하고 도시민들에게 여가 공간을 제공하는 규제 지역입니다.

외곽 농촌 지역(Outer Rural Area): 인구 분산을 목표로 신도시가 개발될 지역입니다.

 

. 교통 계획

도심과 신도시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새로운 순환도로와 철도망을 등을 건설하는 교통기반 시설계획이 수립되었습니다.

 

 

3. 영국의 신도시 개발

. 신도시 개발 배경

하워드의 전원도시 사상에 따라 자급자족 경제가 가능한 자족도시를 표방하였고, 아버크롬비의 그린벨트 개념을 활용하여 런던 외곽에 새로운 도시를 계획하게 됩니다. 이에, 페리(C Perry)의 근린구역 이론(초등학교, 공공시설, 편의시설 등 커뮤니티 시설을 중심으로 주거 및 근린주구를 설치하는 이론)이 도입되었습니다. 이렇든 대런던 계획은 그 시대 유망한 신도시 사상이 실현된 계획입니다.

 

. 신도시 계획 세부 사항

인구규모 약 2~ 6만 명의 소도시로 중심 지역, 주거 지역, 산업 지역, 녹지 공간으로 구분하였으며, 인구규모는 약 10만 명 이상의 대도시(대규모 산업 단지를 조성하여 자급자족 가능한 신도시)를 런던 100km권 내에서 중핵도시의 개념으로 개발하였습니다. 이에, 런던 주변에는 런던의 무분별한 확산을 막기 위해 그린벨트를 설치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런던을 중심으로 8개의 신도시가 총 125만명의 인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습니다.

 

 

4. 신도시 유형과 대표 사례

. 1기 신도시 (1946~1950)

대표 도시는 할로우(Harlow)로 이 시기의 신도시는 원론적인 근린주구이론에 의해서 설계되었습니다. 인구 6,000명을 수용하는 2~3개의 근린구역이 모여 하나의 구역을 형성하는 것을 기본단위로 계획하여, 4개의 구역이 모여 도시를 구성하는 3단계 도시구조를 이용하였습니다. 이러한 계획은 주민 활동이 용이한 커뮤니티 환경을 조성하여 도시 과밀 문제를 해결데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 2기 신도시 (1951~1964)

대표 도시는 컴버놀드(Cumbernauld)입니다. 이 시기는 1기 신도시의 인구구조보다 더 큰 규모의 신도시를 계획하게 됩니다. 근린주구 단위로 보행과 자전거 중심의 계획에서 대중교통 중심으로 전환하게 됩니다. 이 때의 도시는 접근성을 향상하기 위해 선형 도시가 많아졌으며, 각 도심의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토지 이용이 가능해졌습니다.

 

도시는 800m x 400m 크기의 블록 단위를 기본으로 설정하였고, 하나의 블록은 4,000~5,000명의 인구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지게 됩니다. 도심 중심부는 보행 도로를 계획하여 전체 인구의 약 60%가 거주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3기 신도시 (1967~1970)

대표 도시는 밀튼케인스(Milton Keynes)로 저밀도의 인구구조와 대중교통 중심의 신도시 설계를 진행하게 됩니다. 처음으로 버스전용도로를 설치하여 대중교통을 통한 중심시설과 주거지간의 입체적인 도로망 설계를 진행하게 됩니다. 도시구조는 1km 간격으로 구성된 격자형태를 가지게 되며, 각 환경구역은 인구 5,000명을 수용할 수 있게 됩니다.

 

3기 신도시의 가장 큰 특징은 입체적으로 도시를 구획화한 것에 있습니다. 보행자 도로는 지하 또는 고가로 설계되어 자통차 도로와 입체교차하는 형식으로 만들어졌습니다. 각 교차 지점에는 상점, 초등학교, 교회, 도서관 등 커뮤니티 시설이 집중되면서 모든 주거지에서 커뮤니티 센터까지 500m 이상 떨어지지 않도록 설계되었습니다.

 

 

5. 대런던 계획의 영향과 의의

대런던 계획은 현대 도시계획에서 신도시와 위성도시 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한 대규모 신도시계획입니다. 각 신도시는 기존 기성도시의 산업과 인구를 분산시키는 동시에, 독립적인 경제 체계를 갖춘 도시를 목표로 삼았습니다. 또한 그린벨트의 설치를 통해 녹지 공간 확보와 도시의 무분별한 확산을 방지함과 동시에 환경친화적인 도시를 조성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6. 마치며

대런던 계획과 영국의 신도시 개발은 산업혁명으로 인한 도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구적 시도였습니다. 애버크롬비의 그린벨트 개념과 하워드의 전원도시 철학은 도시 확장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자급자족 가능한 신도시를 통해 인구와 산업의 분산을 실현했습니다. 이 같은 시도는 현대 도시계획의 중요한 교훈을 제공하며, 전 세계적으로 지속 가능한 도시 설계에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